자유게시판

[자유게시판] 영어 말 잘 하고 싶은 사람 모여라(2)!

  • 글쓴이 Mason할배 날짜 2020.07.27 00:44 조회 4,774
==
지난번은
<제 1 과> : <한글 토를 연습장에 옮기고 읽기> 에서 43개 단어의
한글 토 읽고 쓰기를 하였다.
.
오늘은 공부한 43 단어들이 어떻게 해서 그 발음이 나는지 발음해설 편이다.
==
<제 2 과 > : <단어별 발음해설>
===
<단어별 발음해설>
 ===
== 아래는 영한사전의 발음부호 43개가
적용되는 단어(43개)들의 발음해설이다.
.
발음에 자신이 없으면 말을 빠르게 하고
자신이 있으면 말을 또록또록 한다. 방송국의 아나운서들을 보자.
.
  이 과(단어 해설)가  끝이 나면 모든 단어를 녹음하고
 Smartphone의 음과 비교하여 다르면 고치자!
100% 성공한다!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==
01. a.go / ə. góu /[ 어. 고우 ́ ] 
        [ 어. 고우 ́ ] 
  (1) 단어(발음부호 및 한글 토)의 점(.)은 음절의 표시로 이는 두 음절 단어임.
  (2) 두 음절 단어에서 약 음절은 일반적으로 모음이  / ə /[ 어 ] 가 된다.
  (3) go 같이 [자음+모음(하나)]은 단음절 단어이며 모음(o)은 장음/ou/이 난다.
  (4) 발음부호표에서 모음 5개의 장단음을 꼭 익혀두자.
==
02. am / æm /[ 애^암 ] 
  (1) [모음(하나)+자음]은 단음절 단어라고 하며 모음은 단음이 난다.
  (2) a 의 단음은 / æ /[ 애^아 ]로 된다.
    이는 [애]하고 시작하여 빠르게 [아]하여 /e/[애]와 /a/[아]가 섞인 것 같은
    하나의 음으로 만들자. [애]도 [아]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어야 한다.
    앞 뒤 둘을 빨리 붙이지 않으면 [애]나 [아] 어느 한쪽으로 들린다.
    학습의 편의상 둘을 붙여 하나의 음을 만들라는 뜻에서 ‘ ^ ’ 부호를 쓴다.
  (3) 음절 단위로 앞의 자음은 뒤 모음에 붙이고 끝 자음은 모음의 받침으로 쓴다.
    단 /s/ /z/ /tʃ/ /ʃ/ 는 받침으로 붙이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.
==
03. ba.by / béi . bi: /[ 배이 ́.비이 ]
        [ 배이 ́. 비이 ]
  (1) [자+모+자+모] 의 단어는 일반적으로 앞 모음 다음에 음절이 온다.
  (2) ba는 위의 001의 go 같이 단음절 단어가 되어 모음은 장음이 난다.
    a 의 장음은 /ei/[애이]다.
  (3) Y 는 네 가지로 발음이 되며
    두 음절 단어에서 약음이 되면 /i:/[이이]로 된다.
==
04. be / bi: /[ 비이 ] 
  (1) [자+모] 으로 단음절 단어이고 모음(e)은 장음인 /i:/[이이]가 된다.
  (2) [비-]하고 입술을 옆으로 벌리면서 [-이] 하여야 한다. 입술 바꿈 없이
    소리만 거듭해서는 안 된다. 또한 [비]로 줄여 읽지 말자.
==
05. book / buk /[ 붘(으) ] 
  (1) b는 [ㅂ/브]로 같은 음절 내에서 뒤에 모음이 오면 [ㅂ]을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뒤에 자음이 오면 [브]로 한다.  black/blæk/[브을애^앜]
  (2) oo는 /u/와 /u:/ 두 가지로 난다. 어떤 경우에 둘이 나는지 원칙이 없다.
  (3) /u/[우]는 입술을 앞으로 약간 내밀면서 빠르게 [우] 한다.
    어떻게 들으면[우어]하는 것 같기도 하다.
  (4) /k/[ㅋ/크]에서 [ㅋ]을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==
06. boy / bɔi /[ 보^어이 ] 
  (1) /ɔi/[오^어이]는 /ɔ/[오^어]음을 만들고 거기에 [이]만 붙이면 된다.
  (2) /ɔ/[오^어]는 아래 024 law 에 설명 있음.
==
07. child / tʃaild /[ 차일드 ] 
  (1) ch 및 tch는 /tʃ/[ㅊ/츠/취]음이 난다.
  (2) 뒤에 모음이 오면 앞에 [ㅊ]을 붙이면 된다.
==
08. cute / kj u :t /[ 키우웉(으) ] 
        [ 키 우 웉(으) ] 
  (1) C 는 뒤에 a o u 가 오면 /k/음이 난다.
  (2) cute 같이 4 글자로 되고 끝에 e 가 오면
    앞 모음(u)은 장음 /ju:/[이우우]가 되고 끝의 e는 묵음이 된다.
  (3) t 는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==
09. dad / dæd /[ 대^앋(으) ] 
  (1) 자음 b d f g k p t v의 한글 토는 같은 방식으로 붙인다.
    위 05 book에서 기 설명되었음. 참고 바람.
  (2) /æ/[애^아]는 위에서 설명되었음.
  (3) 앞의 d는 모음 앞에, 끝의 d는 모음 받침으로 붙인다.
==
10. egg / eg /[ 액(으) ] 
  (1) 이 단어는 [모+자(둘이라도 좋음)]의 단음절 단어임.
  (2) 이 때 모음(e)은 단음 /e/[애]가 난다.
  (3) g 는 [ㄱ/그]로 하여 뒤에 모음이 오면 [ㄱ]을 앞에 붙이고
    뒤에 자음이 오면 [그]로 한다. green/gri:n/[그(어)리인]
==
11. fair / fɛər /[ ㅎ페어(어)ㄹ ] 
  (1) f 는 [ㅎㅍ/ㅎ프]로 하고 /p/[ㅍ/프]와 구분되게 발음하자.
    p 음을 내고 여기에 바람소리를 가미하는데 입술을 약간 물었다 시작하자.
    smartphone으로 pair/ pɛər / 와 구분이 되게 계속 듣고 고치자. 어렵다.
  (2) air/ ɛ ə r /[ 에 어 (어)ㄹ ]는 늘 세 글자가 한 단어로 이렇게 발음 한다. 
    단, [에]는 [애]로 해도 상관이 없다. 이 책에선 둘을 동음으로 취급한다.
==
12. fan / fæn /[ ㅎ패^안 ] 
  (1) f 는 위 11~1 과 같이 발음하도록 하자.
  (2) / æ /[ 애^아 ]는 이미 설명이 되었음.
  (3) n 은 모음 앞이나 다음엔 [ㄴ]으로 붙이고 
      앞에 자음이 오면 [은]으로 읽는다. corn/ kɔ :r n/[코^어 (어)ㄹ 은]
==
13. fin.ger / fíŋ  . gə  r  /[ ㅎ핑 ́. 거 (어)ㄹ ]
          [ ㅎ핑 ́. 거  (어)ㄹ ]
  (1) ng 는 단어의 끝에 오면 /ŋ/[ㅇ]으로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  단어의 가운데 오면서 둘이 n . g 로 갈라지면 /-ŋ. g-/[ㅇ.ㄱ ]가 되어
              /ŋ/[ㅇ]으로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이고
            /g/[ㄱ]은 뒤 모음의 앞에 붙인다.
  (2) 단어 끝의 r 은 언제나 [ (어)ㄹ ] 로 읽는다.
==
14. food /  fu :d /[ ㅎ푸욷(으) ] 
        [ ㅎ푸 욷 (으) ]
  (1) f 는 위에서 설명이 되었음.
  (2) oo는 일반적으로 /u:/가 많이 나오나 원칙은 아니다.
    good 는 /gud/로 나온다.
  (3) d 은 [ㄷ/드]에서 모음에 받침으로 [ㄷ]을 붙인다.
==
15. green / gri :n /[ 그(어)리 인 ]   
  (1) g 는 [ㄱ/그]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[그]로 한다.
  (2) /i:/[이이] 는 be에서 설명이 되었음.
  (3) n 은 [ㄴ]으로 하여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==
16. hand / hænd /[ 해^안드 ] 
  (1) h는 단어의 앞에서 발음이 되나 단어의 가운데나 끝에서는 발음이 안 됨.
  (2) /æ/는 이미 설명이 되었음.
==
17. hi / hai /[ 하이 ] 
  (1) [자+모]은 단음절 단어다. 이 경우 모음은 장음이 난다.
  (2) i의 장음은 /ai/[아이]다
==
18. how / hau /[ 하우 ] 
  (1) ow 는 /au/[아우] 또는 /ou/[노우]로 난다. 원칙이 없다.
    now/nau/[나우] know/nou/[노우]
  (2) 일반적인 것만 알고 개별 단어의 발음부호를 봐야 정확하다.
==
19. in / in /[ 인 ] 
  [모+자] 단음절 단어이다. 모음은 단음인 /i/[이]로 된다.
    이런 것들이 미식 영어 발음의 원칙이다. 그러나 예외는 늘 있다.
==
20. job / dʒɑb /[ 잡(으) ] 
  (1) J 는 /dʒ/ = /ʒ/ 동음으로 해도 좋다. * meas.ure/méʒ.ə:r/[ 맺 ́. 저(어)ㄹ ] 
  (2) [ㅈ/쥐]로 모음 앞에서는 모음에 붙이고
    단어의 끝은 모음의 뒤에라도 붙이지 않고 [쥐]로 한다.
  (3) G 는 뒤에 e i y 가 오면 /dʒ/로 된다.
==
21. King / kiŋ /[ 킹 ] 
  (1) k는 [ㅋ/크]로 뒤에 모음이 오면 [ㅋ]
    단어의 끝에서 모음 다음이면 받침으로 붙이고 자음 다음이면 [크]로 한다.
  (2) C 가 뒤에 a o u 가 오면 /k/가 된다.
  (3) Ck 는 /k/가 된다.
  (4) Cl/kl/[크을] Cr/kr/[크(어)ㄹ] 이 된다.
==
22. lei.sure / lí:. ʒər , léʒ- /[ (을)리이 ́. 저(어)ㄹ ] or [ (을)랮 ́. 어(어)ㄹ ]
  (1) /ʒ/ = /dʒ/는 -.sure에서 나온다.
  (2) ei 는 이 단어에선 /i:/ 또는 /e/로 읽는다. 둘 어는 것도 좋다.
  (3) ei 가 /i:/ 또는 /ai/로 읽는 경우도 있다. 둘 어는 것도 좋다.
    ei.ther /í:.ðər, ái.-/  nei.ther/ní:.ðər, nái.-/로 읽는다.
  (4) 위 2, 3 같이 같은 글자라도 단어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수가 있다.
      해당 단어의 발음부호를 보기 전엔 확실히 발음할 수가 없다.
==
23. la.bel / léi. bəl /[ (을)래이 ́.벌 ]
  (1) [을)]은 L 이 단어(음절)의 첫 자 일 때
      혀가 입천장에 닿아 [을]을 만든 다음 뒤 모음에 ㄹ을 붙이라
      소리는 없이 입만 그렇게 만들라고 ( )에 넣었다. 작은 소리는 좋다.
  (2) [ㄹ]은 L이 같은 음절에서 모음 다음에 오면
    “ㄹ”을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읽는다. [벌]할 때 혀가 입천장에 닿아야 한다.
==
24. law / [(을)로^어 어]
  (1) [오]하는 입을 만들고 다시 아래턱을 떨어트리면서 빠르게 [어]한다.
    나오는 음은 [오]도 [어]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라야 한다.
    턱에 손을 대고 하여 발음 시 턱이 아래로 떨어지는 느낌이 와야 한다.
==
25. long / lɔ :ŋ /[ (을)로^어 엉 ] 
  (1) 단어의 끝 ng 는 / ŋ /[ ㅇ ]으로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이면 된다.
  (2) / ɔ /[오^어] 음은 턱을 아래로 떨어트리지 않으면 제 음이 나오지 않는다.
    정확한 발음이 되는지 알기위해선 턱에 손을 대고 하자. 느낌이 없으면 잘 못이다.
    o/ou/[오우] 는 발음 시 턱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다.
==
26. make / meik /[ 매잌(으) ] 
  (1) m 은 [ㅁ/므]로 단어의 첫 자이거나 뒤에 모음이 오면 [ ㅁ ]을 앞에 붙인다.
  (2) k 는 [ㅋ/크] 로 모음 다음에 오면 받침으로 [ㅋ]을 붙인다.
==
27. mom / mɑm /[ 맘 ] 
  (1) [자+모+자]의 한 음절 단어이다. 모음은 단음이 난다.
  (2) 영한사전엔 어떤 단어의 발음부호에 /a:/[아아]로 된 것은 잘 못이다.
    이유 :
    /a/[아]음은 입을 동그랗게 다 벌리고 나오는 음으로 여기에 한 번 더
    [-아]한다고 해서 음만 길어질 뿐 다른 음이 나오지 않는다. 고쳐서 읽자.
    단 /a:r/는 Ok!
==
28. no / nou /[ 노우 ] 
  (1) [자+모] 단음절 단어로 모음은 장음이 난다.
    이런 단음절 단어는 모두가 자음이 둘인 것은 좋다. 모음은 하나여야 한다.
  (2) 영어발음에 [오]만이 나오는 음은 없다. o/ou[오우]이다.
==
29. noon / nu :n /[ 누 운 ] 
  (1) n 은 012. fan에서 이미 설명되었음.
  (2) oo는 /u/[우] 도 되고 /u:/[우우]도 된다. 단어에 따라 다르다.
  (3) /u/[우]는 입술을 약간 앞으로 내밀면서 [-어]하는 기분으로 [우어]한다.
  (4) /u:/[우우]는 [우-]하고 다시 입을 옆으로 벌리면서 [-우]한다.
==
30. on / ɑn, ɔ:n / ɔn /[ 안 ] or [ 오^어 언]   
  (1) 발음부호가 셋 이 있으면 / 미국, 미국 / 영국 /을 말하고
    미국도 앞의 것이 뒤의 것보다 더 대중적으로 쓰인다는 표시다.
  (2) [ 안 ] or [ 오^어 언]  Ok!
  (3) / ɔ /[오^어]는 이미 설명이 되었다. 단 [오]라고 하지 말자.
  *발음부호가 셋이 있으면 “/ 미(대중적), 미 / 영국/ ”으로 되어있다.
==
31. pen / pen /[ 팬 ] 
  (1) [자+모+자] 한 음절 단어이다. 모음은 단음이 난다.
  (2) 원음은 이렇게 읽는다.
    /p/[프] /e/[애] /n/[은] ==> 셋을 붙여 줄이지 말고 빠르게 읽어보자.
    [프애은] 이 된다. 단 /p/는 정확히는 [ㅍ]만 읽을 수 없기 때문에
    학습의 편의상 [프]라고 하지는 이는 [프]도 [퍼]라고 할 수는 없다.
==
32. pink / piŋ k /[ 핑 크 ]
  (1) -nk/-ŋk/[-ㅇ크]가 된다.
  (2) pink.y /piŋ.ki:/[핑 ́. 키이] 단어와 부호에 음절구분이 다르다.
    이래서 개별 단어의 부호를 봐야 정확하다는 것이다.
==
33. right / rait /[ (어)라잍(으) ] 
  R 음은 다음 셋으로 발음이 된다.   
  (1). R이 단어의 첫 자이거나 한 음절의 첫 자 일 때 “(어)”한 다음
      뒤의 모음에 “ㄹ”을 붙여 읽는다.
        *right/rait/[(어)라잍(으)] Ko.re.a/kə.rí:.ə, kou.rí:.ə/[커.(어)리이 ́.어]
.
  (2). R이 뒤에 자음이 오거나, 단어(발음)의 끝일 경우 [(어)ㄹ]로 읽는다.
.      *girl/gə:rl/[거(어)ㄹ을]  *her/hə:r/[허(어)ㄹ] * car/ka:r/[카(어)ㄹ]
        *our/auər/ => /auər/[아우(어)ㄹ]
        *flour/flauər/ => /flauər/[[ㅎ프을아우(어)ㄹ]
        *here/hiər/ => /hiər/[히(어)ㄹ]
.
  (3). R이 한 음절의 끝에서, 뒤에 자음이 올 경우 [(어)ㄹ]로 읽는다.
      *per.fect/pə́:r.fikt/[퍼(어)ㄹ ́.ㅎ핔트]
==
34. she / ʃ i: /[ 씨 이 ]   
  sh /ʃ/[ㅆ/써/쒸] :
  s는 어느 경우도 [ㅆ]음이 나지 않는다. 단지 sh는 [ㅆ]음이다.
.
  [ㅆ]는
    sh 뒤에 모음이 오면 모음 앞에 붙인다(같은 음절 내에서).
    *she/ʃi:/[씨이] shake/ʃeik/[쌔잌(으)] show/ʃou/[쏘우]
.
  [써]는
    sh 가 단어의 앞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
    *shred/ʃred/[써(어)랟(으)] shrimp/ʃrimp/[써(어)림프]
.
  [쒸(씨)]는
    1) sh 가 단어의 끝이면 [쒸] 와 [씨] 둘 중 OK!
        *wash/wɑʃ/[우아쒸] cash/kæʃ/[캐^아쒸]
    2) sh 가 한 음절의 끝이면 [쒸] 나 [씨]로 한다. [쒸] 와 [씨] 둘 중 OK!
        *re.fresh.ment/ri.fréʃ.mənt/[(어)리.ㅎ프(어)래쒸 ́.먼트]
    3) “ʃ”가 모음 사이에 끼면 음절무시하고 앞 모음(강세 있음) 뒤에 따로 쓴다. 
        *ex.hi.bi.tion/èk.sə.bíʃ.ən/[앸 ̀.서.비쒸 ́.언] 
==
35. sit / sit /[ 싵(으) ] 
  [ㅅ]는
  s 가 모음 앞에 오면 모음에 붙여 읽는다.
  *sat/sæt/[새^앝(으)] sea/si:/[시이] sit/sit/[싵(으)]
.
    *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      단, s 뒤에 /i/[이] 음이 오면 앞 모음 받침으로 쓴다.
      *mis.sing/mís.iŋ/[밋 ́.잉] Ex.ces.sive/ek.sés.iv/[앸.샛 ́.잏ㅂ]
.
  [스]는
    1) s 뒤에 자음이 오면 따로 [스]라고 읽는다.
      *sleep/sli:p/[스을이잎(으)] steak/steik/[스태잌(으)]
    2) s 가 음절의 끝이나 단어의 끝에 오면 [스]로 읽는다.
      *us/ʌs/[어^아스] bus/bʌs/[버^아스]
.
  * C 는 뒤에 e, i, y 가 오면 /s/가 난다.
      cent/sent/[샌트] cir.cle/sə́:r.kl/[서(어)ㄹ ́.크을] cy.cle/sái.kl/[사이 ́.크을]
==
36. think / ɵiŋ k /[ ㅅ딩 크 ]
  th /ɵ/[ㅅㄷ/ㅅ드] :
  th 로 시작하는 음은 혀를 약간만 밖으로 내미는 척 하면서
      상하 입술에 물린 상태에서 시작,
      끝이 나는 음은 혀가 상하치아에 약간 물린 상태에서 끝이 나야 한다.
.
  [ㅅㄷ]는
    1)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*think/ɵiŋk/[ㅅ딩크]
    2)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받힘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*with/wið, wiɵ/[우잏ㄷ(으),우잇ㄷ(으)] 
.
  [ㅅ드]는
    1) 같은 음절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따로 [ㅎ드], [ㅅ드]로 읽는다.
        *thrill/ɵril/[ㅅ드(어)릴] throw/ɵrou/[ㅅ드(어)로우] 
    2) 같은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[ㅎ드], [ㅅ드]로 읽는다.
        *health/helɵ/[핼ㅅ드] 
.
@참고 :
    /ð/과 /ɵ/은 유무성음을 구분키 위한 표시 일 뿐 어차피 외국인의 영어
    발음은 한계가 있다. 이를 구분해서 공부 할 필요까지는 없다.
==
37. this / ðis /[ ㅎ디스 ] 
  th /ð/[ㅎㄷ/ㅎ드] : 
  th 로 시작하는 음은 혀를 약간만 밖으로 내미는 척 하면서
              상하 입술에 물린 상태에서 시작,
          끝이 나는 음은 혀가 상하치아에 약간 물린 상태에서 끝나야 한다.
.
    [ㅎㄷ]
      1)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  *this/ðis/[ㅎ디스]
.
      2)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받힘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  *with/wið, wiɵ/[우잏ㄷ(으),우잇ㄷ(으)]  both.er/bɑ́ð.ər/[밯ㄷ ́.어(어)ㄹ]
.
    [ㅎ드]
      같은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[ㅎ드], [ㅅ드]로 읽는다.
        *health/helɵ/[핼ㅅ드] 
.
@참고 :
    /ð/과 /ɵ/은 유무성음을 구분키 위한 표시 일 뿐 어차피 외국인의 영어
    발음은 한계가 있다. 이를 구분해서 공부 할 필요까지는 없다.
==
38. tip / tip /[ 팊(으) ] 
  t /t/[ㅌ/트] :
  [ㅌ]은
    1)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  *tip/tip/[팊(으)] top/tap/[탚(으)]
    2)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  *tot/tat/[탙(으)] hat/hæt/[(으)]

  [트]는
    1) 뒤에 자음이 올 때.
        *train/trein/[트(어)래인] truck/trʌk/[트](어)러^앜(으)]
    2) 앞에 자음이 오면
        *bolt/boult/[보울트] jolt/dʒoult/[조울트]
==
39. up / ʌp /[ 어^앞(으) ] 
  (1) [모+자] 단음절 단어. 모음은 단음이 난다.
  (2) [어]에서 [아]로 빠르게 하여 하나의 음이 나오게 한다.
    [어]도 [아]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.
    앞 뒤 둘을 빨리 붙이지 않으면 [어]나 [아] 어느 한쪽으로 들린다.
.
  (3) [U+자] 또는 [자+U+자]에서 이런 음이 난다.
    *up/ʌp/[어^앞(으)]  us/ʌs/어^아스]  of/ʌv/[어^앟ㅂ(으)] 
      cup/kʌp/[커^앞(으)]  hug/hʌg/[허^악(으)]  mug/hʌg/[머^악(으)]
==
40. vase / veis /[ ㅎ배이스 ] 
  v /v/[ㅎㅂ/ㅎ브] :
  [브]하는 입모양에서 아래 입술을 위 입술 밑에 살짝 넣고 때면서 바람소리
    가 약간 나게 하면서 [ㅎ브]한다. *b/b/[브]와 구분이 되게 [ㅎ]을 붙인다.
.
  [ㅎㅂ]은
    1) 뒤에 모음이 오면 그 모음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*van/væn/[ㅎ배^안] vi.o.lin/vài.ə.lín/[ㅎ바이 ̀.어.(을)린 ́]
    2) 앞에 모음이 오면 모음의 받침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  *cav.i.ty/kǽv.ə.ti:/[캐^앟ㅂ ́.어.티이] five/failv/[ㅎ파잏ㅂ(으)]

  [ㅎ브]는
    앞에 자음이 오면 [-ㅎ브]로 읽는다.
    *valve/vælv/[ㅎ배^알ㅎ브] twelve/twelv/[트우앨ㅎ브]
  . 
  *참고 : base/beis/[배이스]와 vase/veis/[ㅎ배이스]를 구분 되게 발음하자.
==
41. what / hwɑt /[ 우앝(으) ] 
  (1).  w /w/[우] : 이는 자음으로 [우]로 쓴다.
      *w/w/[우]는 자음으로 어떤 경우든 앞이나 뒤의 모음과 붙이지 않는다.
      *what/hwat/[우앝(으)] why/hwai/[우아이] where/hwɛər/[우에어(어)ㄹ]
  (2). 다음과 같은 경우 앞 모음과 합쳐 하나의 음을 만든다. 
        *law/ɔ:/[(을)로^어어] know/nou/[노우], few/fju:/[ㅎ피우우]
==
42. yes / jes /[ 이애스 ] 
  Y는 한 자음/j /, 세 모음 /ai/, /i:/, /i/ 이 난다.
  (1) 자음 /j/[이] :
    1) "y + 모"= 자음 /j/[이]가 된다. 뒤 모음에 붙이지 않는다.
        *yes/jes/[이애스]  yellow /jél.ou/[이앨 ́.오우]
    2) /j/ 앞의 자음은 /j/[이]에 붙여 하나의 글자를 만든다.
        *new/nju:/[니우우]
  (2) 모음 /ai/[아이] /i:/[이이], /i/[이] :
    1) 단 음절 단어(자 + Y)에서 끝 Y = /ai/ *my/mai/[마이]
    2) 한 음절 단어(자 +Y +자+e)에서 Y = /ai/ *kyle/káil/[카일]
    3) 두 음절 이상 단어 끝 Y(강세 있음.)=/ai/ *sup.ply/sə.plái/[서.프을아이 ́]
    4) 두 음절 이상 단어 끝 Y(강세 없음) =/i:/ *ba.by/béi.bi:/[배이 ́.비이]
    5) 한 음절 단어(자 +Y +자) = /i/ *gym/ʤim/[짐]
    6) 두 음절에서 한 음절이 "자+y+자"가 되면 강세 있는 /i/가 된다.
        *sys.tem/sís.təm/[시스 ́.텀]
==
43. ze.ro / zí:. ərou /[ ㅅ지이 ́. (어)로우 ] 
  z /z/[ㅅㅈ/ㅅ즈] :
    * j /dʒ/[ㅈ/쥐(지)] 및 s /s/[ㅅ/스]와 구별이 되게 이렇게 표현한다.
    * [스]도 [즈]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을 만들자.
.
    *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      단, 뒤에 /i/[이]음이 왔을 때 받침으로 쓴다.
      *vis.it/víz.it/[ㅎ빗ㅈ ́.잍(으)] clos.et/klɑ́z.it/[크을앗ㅈ ́.잍(으)]
.
    [ㅅㅈ]는
      z이 음절의 첫 자로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.
      *ze.ro/zí.rou/[ㅅ지 ́.(어)로우] zoo/zu:/[ㅅ주우]
.
    [ㅅ즈]는
      z가 자음 다음이면서 단어의 끝에 오면 /s/[스]
      hertz/hə:rts/[허(어)ㄹ트스] glitz/glits/[그을잍스]
.
      s가 모음 다음이면서 한 음절의 끝이나, 단어의 끝이면 따로 [ㅅ즈]로 한다.
      *is/iz/[이ㅅ즈] was/wəz/[우어ㅅ즈] or /wɑz/[우아ㅅ즈] closed
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The End

잘 읽어지지 않거나 질문이 있으면 바로 회신 하겠다.
yu41pak@yahoo.com


Mason할배 2020.07.27 00:48:07 댓글달기 삭제
말이 우물우물 하는 것은 발음에 자신이 없어서다.
이렇게 배워야 한다.
어떤 단어를 듣기만 해서 익히면 우물우물 하게 된다.

그러나 왜 그런 발음이 나는지 그 발음은 어떻게 만드는지를 알고
소리를 듣고 익히면 자신있는 음이 되어 말이 나오게 된다.

여러분의 영어 발음이 곧 달라질 것이다.
영어말을 잘 하면 앞으로의 길이 쉽게 열린다.
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
2870 [칭찬합시다] 추위도 이기지 못한 피자집 쫑파티 새싹2단계 shwon 07.06.01 4768
2869 [자유게시판] 듬직이 예린이 돌 잔치 영상이요~~ (9) 새싹1단계 머리한엄마 14.05.15 4765
2868 [칭찬합시다] 식당이모를 칭찬합니다 (8) 김한솔 09.08.06 4721
2867 [자유게시판] 홈페이지 너무 좋아요^^ (3) 잎새1단계 김정숙 07.07.06 4659
2866 [칭찬합시다] 여러분~~~알립니다 관웅이가 합격했어요 .^^. (6) 새싹1단계 중고등부 09.06.02 4658
2865 [자유게시판] 당신은 머리형,가슴형,장형중에 어떤형입니… (4) 잎새1단계 김정숙 07.09.06 4613
2864 [자유게시판] 안녕하십니까! (7) 강아라 07.07.06 4574
2863 [자유게시판] 중앙유치원 부모회를 다녀왔습니다.^^ (2) 이지희 … 07.10.26 4561
2862 [자유게시판] 신건물 호실이름 공모요~~ (6) 새싹1단계 뚜따맘 14.07.29 4553
2861 [자유게시판] *1년과정-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안내입… 사회복지… 07.07.11 4551
2860 [자유게시판] 후원금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. (4) 윤정희 14.05.09 4516
2859 [자유게시판] 아이들 옷 알려드릴께요~ (3) 큰꿈듬직 15.09.06 4507
2858 [칭찬합시다] 모두들 감사해요... (2) 새싹1단계 장훈 09.10.30 4494
2857 [자유게시판] ^^ 우리집이야기에서 수정사항~~부탁합니다. 잎새1단계 김정숙 07.07.08 4492
2856 [자유게시판] 인디언의 자녀 교육 11계명 (1) 헉~ 07.07.10 4477
처음  1  2  3  4  5  6  7  8  9  10  다음  맨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