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유게시판

[자유게시판] (163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>

  • 글쓴이 Mason할배 날짜 2023.02.11 00:50 조회 1,606
(163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>
== (101~119) & <Mr. Pak’s 미식 영어 발음부호표 해설(21)> ==
==
(21) W ==
==
@ 101. work/wə:rk/[우어(어)ㄹ크]
  [명/동] 일(하다), 작업(하다), 노동(하다)
    I go to ~/wə:rk/[우어(어)ㄹ크].
/ 난 일하러 가.(출근해)

*발음 : /wə:rk/[우어(어)ㄹ크]에서 [우-]하면서
      입술을 옆으로 벌리면서[-어-] 한 다음 혀를 입안 어디에도 닿지 않게 하여            진동을 시켜 [(어)ㄹ]음이 들리게 하고 [-크]한다.

*work.ing /wə́:r.kiŋ/[우어(어)ㄹ ́.킹] 
*work.man /wə́:rk.mǝn/ [명] (pl. -men [-mǝn]) 노동자, 직공, 공원

== (영문 1형식) ==
I can't work any more. / 난 더 이상 일할 수 없어.
주어(I) + 동사(can't work) + 수식어(any more)
==
@ 102. world/wə:rld/[우어(어)ㄹ을드]
  [명] 세계, 지구, 세상, 현세
==
103. worm/wǝ:rm/[우어(어)ㄹ음]
  [명]〖컴퓨터〗 웜(=~́ disk) 《같은 장소에는 한 번밖에 data를 써 넣을 수 없는(write once) 광 디스크》.
  [명] 벌레《지렁이·털벌레·땅벌레·구더기·거머리·회충류(類)》
==
000.worn/wɔ:rn/[우오^어(어)ㄹ은]
  WEAR의 과거분사.
  wear/wεǝr/[우에어(어)ㄹ] (wore [wɔːr]; worn [wɔːrn]; wear·ing [wέəriŋ])
    입고〔신고, 쓰고〕 있다, 몸에 지니고 있다, 띠고 있다; …의 지위에 있다,
 He generally wears/wεǝrs/ a dark suit.
 / 그는 보통 검은 옷을 입고 있다.
The jacket was worn/wɔ:rn/ at the elbows.
/ 그 재킷은 팔꿈치 부분이 닳아 있었다.
==
104. wor.ry/wə́:r.i:/[우어 ́.(어)리이]
  [동] 걱정[근심]하다, 안달하다 *[유] care(kɛər)
    Don't ~/wə́:r.i:/[우어 ́.(어)리이].
/ (구어) 걱정 마라.
==
105. worse/wə:rs/[우어(어)ㄹ스]
  [형]「bad, ill의 비교급」보다 나쁜, (병이)악화된 [opp.] better
==
106. wor.ship/wə́:r.ʃip/[우어(어)ㄹ ́.앂]
  [명] 예배, 참배, 예배식, 숭배, 존경
  [동] (-pp-) 예배하다, ┅에 참배하다, (신으로) 모시다[공경하다] 숭배[존경]하다
        Each person could ~/wə́:r.ʃip/[우어(어)ㄹ ́.앂] God in his own way.
        / 각자 자기 방식대로 신을 숭배할 수 있을 것입니다.
==
107. worst/wə:rst/[우어(어)ㄹ스트]
  [명] (the ∼) 최악, 최악의 것[사람]
  [형]「bad, ill의 최상급」 최악의, 가장 나쁜, (용태가) 최악의
    It was the ~/wə:rst/[우어(어)ㄹ스트] storm for five years.
    / 5년만의 가장 심한 폭풍우였다..
==
108. worth/wə:rɵ/[우어(어)ㄹㅅ드]
  [명] 가치, 값어치, ┅의 값만큼의 분량, ┅어치
  [형] ┅의 가치가 있는, ┅의 값어치가 있는
    It is ~/wə:rɵ/[우어(어)ㄹㅅ드] nothing.
/ 아무런 가치도 없다.

*worth.less/wə́:rɵ.lis/ [형] 가치 없는, 하잘 것 없는, 쓸모 없는, 시시한, 무익한;
*worth.ness/wə́:rɵ.nis/ [명] 값어치 있는
*wor.thy/wə́:r.ði:/ [형] (-thier, .hiest) 존경할 만한, 가치 있는
                  [명] 훌륭한 인물
==
109. would/wud/[우욷]
  [동] (조동사) (would not의 간약형 wouldn't[wúdnt]; 2인칭 단수)┅할[일] 것이다, ┅하겠다, (기어코) ┅하려고 했다, 했을[이었을] 것이다
  I said that I ~/wud/[우욷] be twenty next birthday.
/ 나는 다음 생일이면 20살이 된다고 말하였다.

*발음 : /wud/[우욷]에서 앞[우-]를 발음하고 입술을 앞으로 내밀면서 [-욷]한다.
*미국 구어체 : I wouldn't say no. 아니라고는 말하지 않을게요.
*미국 구어체 : Would you like some? 좀 잡수어볼래요?
==
110(1). wound/wu:nd/[우우운드]
  [명] 부상, 상처 *[유] in.jur.y(ín.dʒər.i:) (정신적) 고통
  [동] 상처를 입히다; (감정을) 해치다, 부상을 입다
    He was ~.ed/wú:n.did/[우우운 ́.딛].
/ 그는 부상을 입었다.

*발음 : /wu:nd/[우우운드]에서 앞[우-]를 발음하고 입술을 옆으로 벌리면서                [-우운드]한다. 입술 움직임 없이 소리만 거듭하면 제 음이 안 된다.
==
110(2). wound/waund/[우아운드]
  WIND 의 과거·과거분사. (강·길이) 꼬불꼬불 구부러지다, 굽이치다, 굴곡하다
==
111. wrap/ræp/[(어)래^앞]
  [동] 포장하다, 싸다
      I ~.ped/ræpt/[(어)래^앞트] up in a blanket.
/ 나는 담요를 둘러썼다.
*wrap.ping/rǽp.iŋ/ [명] 포장, 쌈
==
112. wrath/ræɵ/[(어)래^앗ㄷ]
  [명]《시어·문어》 격노, 분노, 신의 노여움; 복수, 천벌; (자연현상 등의) 혹독함, 폭위(暴威)
      He is in ~/ræɵ/[(어)래^앗ㄷ].
/ 그는 격(분)노 하고 있다.
==
113. wreck/rek/[(어)랰]
  [명] (배의) 난파, 파괴, 파멸, 난파선(의 잔해)
  [동] 난파시키다, (선원을) 조난시키다, 파괴하다, 파멸로 이끌다
    The ship was ~.ed/rekt/[(어)랰트].
/ 배는 난파했다.
==
114. wrench/rentʃ/[(어)랜취]
  [명] 세차게 비틂, 접질림,〖기계〗 렌치(볼트·너트 따위를 돌리는 공구) (모진) 고통
  [동] (갑자기, 세게) 비틀다, 비틀어 돌리다, 비틀어[잡아] 떼다 (마음을) 괴롭히다
    The police ~.ed/rentʃt/[(어)랜취트] the man's wrist.
    / 경찰은 그 남자의 손목을 비틀었다.
==
115. wretch/retʃ/[(어)래취]
  [명] 가엾은 사람, 비참한 사람. 비열한 사람, 천박한 사람, 비열한(漢)
  《우스개》 (귀여운) 녀석, 놈
==
116. wring/riŋ/[(어)링]
  [동] (p., pp. wrung [rʌŋ]) 짜다, 틀다, 비틀다; 비틀어 꺾다
  She wrung/rʌŋ/[(어)러^앙] the towel dry.
/ 그녀는 수건을 물기 없이 짰다.
==
@ 117. wrist/rist/[(어)리스트]
  [명] 손목,〖의학〗손목 관절
      Do you have a ~/rist/[(어)리스트] watch?
 / 너 손목시계 가지고 있나?

*wrist.watch/ríst.wɑ̀tʃ/ [명] 손목시계
==
@ 118. write/rait/[(어)라잍]
  [동] (wrote [rout], (고어) writ [rit]; written [ritn], (고어) writ)  (글자·말·책·악보 등을) 쓰다
    Will you ~/rait/[(어)라잍] me soon?
/ 곧 편지를 주시겠습니까.
.
Writing/ráit.iŋ/[(어)라잍 ́.잉] a novel was one of my life goals.
/ 소설을 쓰는 것은 내 인생 목표 중 하나였다.
주어(Writing a novel) + 동사(was) + 보어(one of my life goals)
동사원형+ing =동명사

*writ.er/ráit.ər/ [명] 저자, 필자, 작가, 문필가
*re.write/ri.ráit/[(어)리.(어)라잍 ́]
  [동] (-worte [-róut]; -written [-rítn] 고쳐 쓰다, 다시 쓰다
==
@ 119. wrong/rɔ:ŋ/[(어)로^어엉]
  [형] (more ∼, 때때로 ∼er/ most ∼, 때때로 ∼est) (도덕적·윤리적으로) 그릇된,    부정의, 올바르지 못한, 잘못된, 틀린, 부적당한, ┅답지 못한
        It is ~/rɔ:ŋ/[(어)로^어엉] to tell lies.
/ 거짓말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.

*참고 : Wrong and  Mistake? / 잘못과 실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?
“A mistake refers to an error in a belief or decision.
      It does not imply something immoral.”
/ “실수(mistake)”란 믿음이나 결정의 오류를 말한다.
  그것은 부도덕 한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.

“ "Wrong" can also refer to such an error.
      However, it can also mean some action or belief
          that is not correct morally.”
/ "틀린(wrong)"은 또한 그러한 오류를 나타낼 수 있다.
      어떻든 그것은 또한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행동이나
  믿음을 의미 할 수도 있다.
.
둘 다 어떤 행동이나 믿음, 결정에 대한 오류를 의미하지만
도덕적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wrong으로 쓰고
mistake이라고 쓰지 않는다.
즉 도덕적으로 비난을 받을 일을 저지르면 
“네가 틀렸어! / You are wrong!”으로 한다.
Wrong mistake? / 잘못된 실수란?
We made too many wrong mistakes.
 / 우린 너무 많은 비난 받을 잘 못을 저질렀어.

*발음 : long/lɔ:ŋ/[(을)로^어엉] 과 구별 되게 발음하자.
      Wrong 은 혀를 입 안에서 어디도 닿지 않게 띄우고 시작하고
      Long 은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시작하자.

*미국 구어체 : You have the wrong number.
              그 번호 아닙니다.; 전화 잘못 거셨습니다.
====
== [문법 요약] ==
==
001. The movie was interesting.
/ 영화가 재미있었다.
...
의문문을 만들려면 ==>
be 동사(Was) + 주어(the movie)
Was the movie interesting? 영화가 재미 있었나?
==
==
002. Running is the easiest way to lose weight.
/ 달리기는 살을 빼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.
...
주어(Running) + 동사(is) + 보어(the easiest way) + 수식어(to lose weight)
동사원형+ing=동명사
==
==
003. We must go.
/ 우리는 가야한다.
...
부정문을 만들려면 ==>
We must not go. 우리는 가면 안 된다.
==
==
004. They went to London.
/ 그들은 런던에 갔다.
...
부정문을 만들려면 ==>
They didn't go to London. 그들은 런던에 가지 않았다.
일반동사가 과거형(ate)이면 do 대신 did
==
==
005. This is a very good wine.
/ 이것은 아주 좋은 포도주이다.
...
a wine: 포도주 한병
==
==
006. Writing a novel was one of my life goals.
/ 소설을 쓰는 것은 내 인생 목표 중 하나였다.
...
주어(Writing a novel) + 동사(was) + 보어(one of my life goals)
동사원형+ing =동명사
==
==============The End
.
<Mr. Pak’s 미식 영어 발음부호표 해설(21)>
==
  41. th /ð/[ㅎㄷ/ㅎ드] : 
  42. th /ɵ/[ㅅㄷ/ㅅ드] :
    th 로 시작하는 음은
            혀를 약간만 밖으로 내미는 척 하면서 상하 입술에 물린 상태에서 시작,
        끝이 나는 음은
            혀가 상하치아에 약간 물린 상태에서 끝나야 한다.

    [ㅎㄷ], [ㅅㄷ]는
      1) 뒤에 모음이 오면 그 앞에 붙인다.
          *than/ðæn/[ㅎ대^안] this/ðis/[ㅎ디스] *think/ɵiŋk/[ㅅ딩크]
      2) 앞에 모음이 오면 그 받힘으로 붙인다.
          *with/wið, wiɵ/[우잏ㄷ, 우잇ㄷ]  both.er/bɑ́ð.ər/[밯ㄷ ́.어(어)ㄹ]

    [ㅎ드], [ㅅ드]는
      1) 같은 음절에서 뒤에 자음이 오면 따로 [ㅎ드], [ㅅ드]로 읽는다.
        *thrill/ɵril/[ㅅ드(어)릴] throw/ɵrou/[ㅅ드(어)로우] 
      2) 같은 음절에서 앞에 자음이 오면 따로 [ㅎ드], [ㅅ드]로 읽는다.
        *health/helɵ/[핼ㅅ드] 

    *참고 :
      /ð/과 /ɵ/은 유무성음을 구분키 위한 표시 일 뿐 어차피 외국인의 영어
      발음은 한계가 있다. 이를 구분해서 공부 할 필요까지는 없다.
== 
==   
  43. su /ʒ/[ㅈ/쥐(지)] :
    /dʒ/와 동음 처리하면 된다.
    *정확한 원음은 /z/에 가까우나
    한국인은 이를 발음할 수 도 없고 굳이 이렇게 할 필요도 없다.
    *meas.ure/méʒ.ər/[맺 ́.어(어)ㄹ] lei.sure/lí:.ʒər/[(을)리이 ́.저(어)ㄹ]
      clo.sure/klóu.ʒər/[크을오우 ́.저(어)ㄹ] pleas.ure/pléʒ.ər/[프을앶 ́.어(어)ㄹ]
==
====== 발음부호 해설 끝
==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<발음부호 및 한글 토 읽는 법>
두 음절 이상 단어( 단어와 발음부호에 ( . )표시 )는 “음절” 표시다.
  (1) 음절에서 끊고, (2) 강세에 힘을 주고(약 음절에 비해 높게), 
  (3) (을) (어) 를 잘 지키고(약음), 토를 붙여 줄이지 말고 글자 하나씩 읽자!
.
  강세 표기를 미국은 음절 단위로 하고,
      한국은 해당 모음위에 표기가 되어 있다.
      영한 : a.go / əgóu / <==부호에 음절 표기가 없다.
      미국 / ə  gō ́/ <==발음부호간 음절별 간격을 두어 음절이 구분 된다.
.
1. 영어는 쓰인 알파벳순으로 모두를 읽는다.
  한국인이 따라 하긴 힘이 든다. 가능한 음절별로 묶어 한글 식으로 하였다.
  더 줄이고 붙여 읽으면 아주 다른 발음이 된다. 꼭 지켜야 한다.
  예 : No/nou/[노우]를 [노]로, What/hwɑt/[우앝]를 [왙]로 읽지 말자!
.
2. 음절의 원칙에서 예외
  (1) T는 앞 모음에 강세가 오면 앞 모음의 받침으로 붙여 읽는다.(음절 무시)
  (2) R은 음절의 끝이나 뒤 음절에 모음에 오면 그 모음의 앞에 붙여 읽는다.

  그러나 이렇게 읽지 않는 단어도 있다.
  예(1) : for.ev.er / fɔr. év. ər/[ ㅎ포^어(어)ㄹ. 앻ㅂ ́.어(어)ㄹ](o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 ㅎ포^어. (어)랳ㅂ ́. 어(어)ㄹ](x)
  예(2) : for.eign / fɔ́:r. in /[ ㅎ포^어(어)ㄹ ́. 인 ](o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 ㅎ포^어 ́. (어)린 ](o)
      정리 :
      (1)은 R 이 약 음절의 끝에 있어 약음이 나야 한다.
            뒤 강음절의 앞에 붙여 발음 하면 강음이 되기 때문이다.
      (2)는 R 이 강음절에 속하지만 음절의 끝에 있어 약음이 나게 되어있다.
            결국 뒤의 음절도 약음이기 때문에 r 음의 높낮이엔 변함이 없다.
.
3. (을) (어) 의 발음
  (1) (을)은 L 음을 정확히 내기 위한 방법으로
      L 음으로 시작할 땐 혀가 입천장(앞쪽)에 붙여서 시작하고
          끝 날 때는 혀가 입천장에 닿은 상태라야 정상적인 발음이 된다.
          혀가 입천장에 닿은 상태에서 약하게 “(을)”하자. 센 발음은 안 된다.
  (2) (어)는 R 음을 정확히 내기 위한 방법으로
      R 음으로 시작할 땐 혀가 입천장에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게 하려는 것이고
          끝날 때는 혀가 어디에도 닿지 않게 하려는 방법으로 (어)를 쓴다.
          혀를 입 안 어디에도 닫지 않게 하여 아주 약하게 들리게 낮게 “(어)”하자.
==
==
                  <한글 토에서 알아 둘 것>
    자음의 한글 토에 [ㅡ]위에 ㄱ ㄷ ㅌ 등을 올려 [브,드,트]로 표현 한 것은
    예로 b는 알파벳을 읽을 때는 /bi:/[비이]라고 하지만
                  단어에서는 "buh [버, 브]"라고 읽는다. (원어민 발음)
    " buh "는 듣기에 따라 한글로 옮겨보면 [버]도 되고 [브]도 된다.
      예 : book / b u k / 는 [버 우 크 ]나 [브 우 크] 가 된다.
.
    영어는 한국어 같이 자 모음을 붙여 하나로 만들어 읽지 않고
          쓰인 알파벳 순으로 하나씩 읽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다.
.
    즉 [버]의 [ㅓ]음은 u/ʌ/[어^아]와 /ə/[어]에 상충되기도 한다.
    이는 정확히는 [버]도 [브]도 아니면서 둘 다 비슷한 음이다.
    소리를 글로 표현함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.
    읽을 때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아닌 둘과 비슷한 음을 내자.   
.
    예로, milk/ m  i  l  k /는
            [므/머 이 을 크]로 읽어 들리기엔 [믤크] 나 [멜크]로 들릴 수 있다.
    .
    이는 자음(m)이 [머]도 [므]도 아닌 음으로 [므]로 읽어 [이]에 붙이면 [믜],
    [머]가 [이]에 붙으면 [메]로 들린다. sit/sit/도 [싙], [셑]으로 들릴 수 있다.
.
    한글 토는 원음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것을 표현 한 것일 뿐
    100% 맞을 수는 없다. 이는 영어와 한글의 발성법이 다르기 때문이다.
    단어 읽기가 어는 정도 되면 한글 토는 무시하고 발음부호만 보고 읽자.
.
    영어 발음 초기 학습자는 우선 자신의 발음이 맞든 틀리든 확신이 가는
    어떤 발음의 기준을 갖게 하여 말을 하게 만든 다는 것 잊지 말자.
...
 즉 발음부호 ==> 소리를 부호로 형상화 한 것.
  한글 토 ==> 발음부호를 한글로 설명 한 것.
    어떤 단어의 음(소리)을 들으면서 이거다 저거다 할 때
  넘지 말아야 할 발음의 한계를 한글로 그어(일러) 주는 것.
...
한글 표준 기준과 맞지 않는 한글 토의 이해 촉구
글을 소리로 나타냄에서 한계가 있다.
모음 :  /æ/[애^아], /ʌ/[어^아]
/ɔ/[오^어] /ɔi/[오^어이]
이는 앞뒤의 글자를 붙여 하나의 음을 만들자는 표시다.
...
자음 : /f/[ㅎㅍ/ㅎ프] & /p/[ㅍ/프],  /v/[ㅎㅂ/ㅎ브] & /b/[ㅂ/브]
/z/[ㅅㅈ/ㅅ즈] & /dʒ/[ㅈ/쥐],  /ð/[ㅎㄷ/ㅎ드] & /ɵ/[ㅅㄷ/ㅅ드]
 음이 비슷한 두 자음을 발음 시 구분되게 하라는 표시다.
...
==
==
              한글 토의 효과가 어떤지 직접 시험을 해 보자.
 영어 외래어 범람으로 아래 셋을 우린 모두 [소스]라고 읽고 말하고 있다.
  1) 컵의 받침 접시 : sau.cer
  2) 어떤 정보의 근원지 : source
  3) 음식에 간이나 향을 맞추기 위해 넣는 것 : sauce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== 우선 한글 토 읽는 법을 알아야 한다. ==
==
023. sauce/sɔ:s/[소^어어스]
  [명] 소스, (비유) 맛을 돋우는 것, 양념, 자극, 재미, (구어) 건방짐, 건방진 말,
      Hunger is the best ~/sɔ:s/[소^어어스].
/ (속담) 시장이 반찬.
==
024. sau.cer/sɔ́:.sər/[소^어어 ́.서(어)ㄹ]
  [명] (커피 잔 따위의) 받침 접시; (화분의) 받침 (접시). [SYN.] ⇨ DISH.
    a cup and ~/sɔ́:.sər/[소^어어 ́.서(어)ㄹ].
/ 받침 접시가 딸린 컵.
==
211. source/sɔ:rs/[소^어(어)ㄹ스]
  [명] 수원(지), 근원, 출처, 자료
    Write the ~/sɔ:rs/[소^어(어)ㄹ스] of this article.
        / 이 글의 출전(出典)을 써라.
==


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
1533 [자유게시판] (001)(A)<휴대용 5천 영단장> (1) Mason할배 23.02.26 556
1532 [자유게시판] (002)(A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2.23 545
1531 [자유게시판] (001)(A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2.18 534
1530 [자유게시판] (164)(XYZ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… Mason할배 23.02.16 438
>>> [자유게시판] (163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2.11 1607
1528 [자유게시판] (162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2.08 630
1527 [자유게시판] (161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2.04 585
1526 [자유게시판] (160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(1) Mason할배 23.02.01 923
1525 [자유게시판] (159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29 614
1524 [자유게시판] (158)(W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25 1353
1523 [자유게시판] (157)(V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21 615
1522 [자유게시판] (156)(V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(1) Mason할배 23.01.18 579
1521 [자유게시판] (155)(V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15 534
1520 [자유게시판] (154)(V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12 495
1519 [자유게시판] (153)(U)<석 달에 귀 입 트는 기초 5천 영단장&… Mason할배 23.01.09 502
처음  이전  11  12  13  14  15  16  17  18  19  20  다음  맨끝